정신건강정보

>정신건강정보 >성인 정신건강 >우울장애

우울장애

우울증은 흔한 정신질환으로, 마음의 감기라고도 불림.
그러나 우울증은 대인관계, 사회적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심할 경우 자살이라는 심각한 결과에 이를 수 있는 뇌질환임.

원인
뇌 신경전달 물질의 변화
  • 세로토닌의 저하

유전적 원인
  • 유전 질환은 아니나, 우울증이 있는 부모나 형제, 친척이 있다면 우울증에 걸릴 확률은 일반인에 비해 약간 높을 수 있음

생활 및 환경 스트레스
  •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, 이별, 외로움, 실직, 경제적인 걱정 등

신체적 질환이나 약물
  • 암, 내분비계 질환, 뇌졸중 등 다양한 질환

정상적 우울과 우울증 구별하기

정상적인 우울
  • 기분을 조절하는 뇌의 기능이 손상되어 정상을 벗어난 기분의 감소를 느끼거나 시간이 지나도 정상기분으로 돌아오지 못하는 상태

증상
성인
  • 지속적인 우울감

  • 의욕저하, 흥미의 저하

  • 불면증 또는 수면장애

  • 식욕저하 또는 식욕 증가와 관련된 체중변화

  • 주의집중력 저하

  • 자살에 대한 반복적인 생각, 자살시도

  • 부정적 사고, 무가치감(스스로 가치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)

  • 지나친 죄책감

  • 일상생활 기능 및 학업(또는 업무)능력 저하

  • 휴학, 가족갈등, 이혼 등


노인
  • 신체 통증 호소 증가

  • 인지기능장애(가성치매) 동반

  • 기억력 감퇴, 사고력 및 주의집중력 저하

  • 외모의 무관심, 모든일의 동기 상실

  • 식욕감퇴 또는 폭식, 성욕감퇴 등

치료
병원을 방문해야 하는 경우
  • 우울증의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되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경우,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, 지역 내에 위치한 정신건강복지센터와 상의 및 상담을 받는 것이 좋음.

  • 우울증이 심할 때, 부정적인 생각이 지배하기 쉽고 이런 이유로 치료에 대한 기대도 부정적인 경우가 많음. 그러므로 가족, 친구 등 보호자의 지지와 역할이 중요함. 특히 자살사고 등 위험성이 있는 경우 즉시 방문해야 함.


※ 도움 받을 수 있는 곳

  • 정신건강의학과 병·의원(정신건강의학과 전문병원, 개인정신건강의학과 의원,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)

  • 지역사회정신보건시설(정신건강복지센터, 사회복귀시설)


우울증 대처법
Placeholder 관련이미지

  • 우울증의 증상으로 인한 환자의 변화(짜증, 무기력, 약속 어기기 등)를 비난하지 않고 우울증인지 의심해보고 충분히 대화를 나눈다.

  • 세심한 배려로 친구의 어려움을 충분히 들어주고 이해하고 공감하고 격려해준다.

  • 우울증 치료를 받도록 적극적으로 권유하고 중등도 이상의 우울증의 경우 항우울제를 복용하도록 돕는다.

  • 섣부른 충고보다는 경청하는 자세로 친구가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좋다.

  • 환자를 혼자 두지 않고 운동 등 여러 가지 활동을 같이 하면 좋으나, 너무 강요하면 환자는 내가 얼마나 힘든지 모른다고 생각할 수 있다.

  • 자살에 대해 언급한다면, 자세히 묻고 자살의 위험이 있는 경우 즉각적으로 치료를 받도록 하여야 한다.

※ 출처: 보건복지부 국가건강정보포털

정신건강상담

1577-0199

자살예방상담

109

SNS

fllow_img